본문 바로가기
WG 2013년 계사년 기록

건강상식 만성기관지염이나 비염에 특효인 세신 쪽도리풀 활용법

by 草心 2013. 8. 5.

 

 

 

 

  꽃의 모양이 옛날 결혼식에 사용하던 족두리와 비슷하여 족두리풀이란 식물명이 붙여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식물도감이나, 약초책에서는 '족도리풀' 이라고 잘못 표기 되어 있다.

  족두리풀은 다년초로서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며, 수염뿌리가 많다.

  잎은 줄기 끝에 2개가 나며, 사람의 콩팥모양이며, 길이 10-15cm이다.

  꽃은 4-5월에 쥐방울 모양의 홍자색이 핀다.


  족두리풀을 세신이라고 하는데, 뿌리가 가늘면서 매운 맛이 있기 때문에 세신(가늘세, 매울신)이라고

  한다. 뿌리를 캐어 코에 대보면 시원한 향이 가슴을 뚫리게 하며 그 냄새가 기분을 좋게 한다.

  전국 각지에 해발 100~1,700m 되는 산골짜기 넓은 잎나무 밑의 비옥하고 습한 그늘에서 잘 자란다.

  북부 지방에서는 잎과 꼭지에 털이 적고 갈라진 꽃잎 조각이 뒤로 젖혀진 민족두리풀이 자란다.


  다른 이름으로는 족도리풀, 만병초, 놋동이풀, 자주족두리풀로 불린다.

  이른 여름 즉 5월에서 7월경에 캐어서 물에 씻어 말려서 하루 1~3g을 달여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흔히 입안을 개운하게 하는 은단을 만드는데 족두리풀이 들어간다.

  민간에서는 벌레를 쫒는데, 간염치료약, 염증약으로 사용한다. 두통, 신경통, 요통, 이가 아픈데, 류머티스성

  관절염, 근육통, 감기, 만성 기관지염에 효과가 뛰어나다.


  맛은 따뜻하고 맵다. 폐장, 콩팥, 위장을 다스린다.

  풍한습으로 인한 두통, 사지마비동통, 복통에 효과가 있다.

  또한 외감성으로 인한 두통, 오한, 발열, 전신통, 눕고 싶은 충동이 심할때, 찬 것이 폐에 정체되어

  일어나는 해수, 천식, 가래가 많고 맑은 증상, 축녹증, 특히 코가 막히고 콧물이 흐르는 증상에 효과 있다.

  중풍으로 인한 인사불성에는 세신을 말려 가루내어 코에 불어 넣는다.

  해열, 진정, 진통, 국부 마취, 항염, 면역 억제 작용, 기관지 이완작용, 지질 대사 증강 작용, 혈당

  상승 작용, 신체 대사 기능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또한 그람양성균, 고초간균, 티푸스균, 피부진균,

  결핵균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구내염에는 가루를 물에 개어 배꼽 주위에 붙인다. 관상 동맥 질환으로 통증, 발작이 있을 때

  분무제를 만들어 가슴에 뿌려주면 5분 이내에 통증이 멎는다는 임삼보고가 있다.

  두통을 낫게 하며, 만성 기관지염, 심장교통증의 완화 작용, 국부 마취 작용이 있다.


  허준이 펴낸 <동의보감>에서는 세신을 이렇게 적고 있다.


  “성질은 따뜻하고 맛이 몹시 매우며(쓰고 맵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풍습으로 저리고 아픈 데 쓰며 속을 따뜻하게 하고 기를 내린다.

  후비와 코가 막힌 것을 치료하며 담기를 세게 한다.

  두풍을 없애고 눈을 밝게 하며 이가 아픈 것을 멎게 하고 담을 삭이며 땀이 나게 한다.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데 뿌리는 아주 가늘고 맛이 몹시 매우므로 이름을 세신이라고 한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 다음 노두를 버리고 쓴다.

  단방으로 가루내어 쓰되 2g을 넘지 말아야 한다.

  만일 이 약을 많이 쓰면 숨이 답답하고 막혀서 통하지 않게 되어 죽을 수 있다.

  비록 죽기는 하나 아무런 상처도 없다[본초].

  소음경 약이다. 소음두통에 잘 듣는데 따두릅을 사약[使]으로 하여 쓴다.

  족두리풀은 향기나 맛이 다 약하면서 완만하므로 수소음경에 들어가며 두면풍으로 아픈 것을 치료

  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약이다[탕액]”


  중국에서 펴낸<본초도감>에서는 세신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산지의 음습한 언덕 및 관목숲에 자란다. 6월에 캐서 흙을 제거하고 음지에서 말린다.

  맛은 맵고 따뜻하며 독이 조금 있다. 효능은 가래를 삭이고 몸에 찬 기운을 흩어지게 하며,

  통증을 그치게하고, 폐를 따뜻하게 한다.

  풍한으로 인한 두통과 폐에 찬기운으로 인한 해수와 천식, 풍습성 관절염을 낫게 한다.

  하루 1~3g을 사용한다.”


  북한에서 펴낸<동의학 사전>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심경, 신경, 간경, 폐경에 작용한다. 풍한을 내보내고 소음경의 한사를

  없애며 담을 삭이고 통증을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해열작용, 항알레르기작용, 국소마취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정유를 좀 많이 쓰면 마비 작용을 나타내다가 호흡이 멎는다.

  정유 성분은 혈압을 낮추고 탕약을 혈압을 높인다.

  감기, 풍한으로 인한 두통, 치통, 비증, 류머티즘성관절염, 신경통, 요통, 가래가 있으면서 기침이

  나고 숨이 찬데(기관지염), 후두염, 비염, 입을 벌리지 못하는데, 전간 등에 쓴다.

  하루 1~3g을 달여 먹거나 가루를 코에 불어넣으며 달인 물로 입가심한다.

  기가 허하여 땀이 나는 데와 혈허로 머리가 아픈 데, 음허로 기침이 나는 데는 쓰지 않는다.

  세신은 여로, 황기, 낭독, 산수유와 배합금기이다.”


  우리나라에서 1808~1884년에 살았던 이름있는 의학자였던 황도연이 쓴 <방약 합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족두리풀은 맵고 따뜻해서 관규를 열어주고, 소음두통 풍습증에 요긴한 약이다.


  세종대왕이 편찬한<향약집성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해역, 두통, 뇌동, 백절구연, 풍습통, 사기를 치료하고

  속을 따뜻하게 해주며 기를 내리고 가래를 삭히며 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또한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후비, 비농, 풍간, 전질도 치료 하며 유결(젖멍울), 땀이 나지 않는 증상,

  피가 잘 돌지 못하는 증상도 치료 하며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간담을 보하며 정기를 통하게 한다.

  오래복용하면 눈이 맑아지고 구규(인체의 아홉구멍)가 잘 통하며 몸이 거뜬해지면서 장수한다.


  일명 소신이라고도 한다. 산에서 자라며 음력 2월과 8월에 뿌리를 채취해서 그늘에서 말려 쓴다.

  조근을 사약으로 쓰며 결명자, 잉어쓸개, 양의 간등과 배합하여 쓰면 목통(눈아픔)이 치료된다.

  낭독, 산수유, 단너삼과 서로 상악약이며, 활석은 상외약이며 여로는 상반약이다.

 “ 또한 모든약을 포제하는 법이란 제목의 초부에서 ‘세신’에 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노두와 흙, 잎은 버리고(먹으면 해롭다) 오이 생즙에 하룻밤 담갔다가 아침에 건져서 햇볕에 말려 쓴다.

  곧고 가늘며 초피나무처럼 맛이 매운것이 좋은 것이다.

  또는 노두와 흙을 버리고 약한 불에 말려 쓰기도 한다.“


  <도은거>에서는 “노두 부분의 마디를 버리고 쓰는데 구취가 날 때 씹으면 효과가 있다.

  가래를 잘 삭히고 눈을 맑게 한다. [범자]는 화음에서 자란 것 으로 빛이 흰 것이 좋다고 하였다.”

  <약성론>에서는 “신약(신하에 해당하는 부류의 약재를 말함)으로 쓴다.

  생채를 금한다.(즉, 족두리풀과 박새뿌리를 쓸 때는 삵쾡이 고기와 생채를 먹지 말아야 한다.

  즉 세신을 먹을 때의 음식금기 사항이다.) 맛은 쓰고 맵다.

  해역상기, 악풍, 두풍,수족구련등을 치료하고 오장육부를 편안하게 하며 담기를 돕고 풍습으로 피부가

  가려운 것, 안풍으로 눈물이 흐르는 증상도 멈추게 한다.

  또한 눈을 밝게 하고 가슴속의 체기를 흩어지게 하며 치통, 월경중단, 부인의 피가 몰리는 것, 요통

  등도 치료한다.”


  세신의 효능을 요약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두통, 신경통, 요통, 치통, 근육통, 감기, 만성 기관지염, 어혈, 간염, 만성 기관지염, 류머티스성

  관절염, 눈이 아픈데, 월경중단, 가려움증, 사지마비, 중풍, 명목, 가래, 이뇨, 축농증, 비염, 해수,

  천식, 코막힘, 발한, 구내염, 복통, 오한, 발열, 온몸이 아픈데, 만사가 귀찮고 눕고만 싶을때, 콧물,

  진정, 진통, 항염, 면역억제작용, 항알레르기, 억균등의 작용을 나타낸다.


  가까운 산에 가서 세신을 발견하여 그늘에서 말려놓았다가 적은양을 꾸준히 달여마심으로 가족 성원들의

  기관지염이나 감기를 비롯해서 가정 상비약초로 사용하면 좋을 것이다.

  절대로 많이 먹지 말아야 할 것이다.

  과용하여 하나뿐인 소중한 생명을 잃는다면 매우 어리석은 행동일 것이다.

  동양의 수천년 약초 체험을 통해서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겸손하게 고마움 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향약집성방>에서 설명한 것처럼 ‘오래복용하면 눈이 맑아지고 구규가 잘 통하며 몸이 거뜬해지면서

  장수한다’는 말과 같이 조물주가 우리에게 준 또 하나의 훌륭한 약초중의 하나이다.

  먹는양을 정확하게 지킬 때 이말이 참됨을 증명할 것이다.